Internet Protocol
용어
Packet: Packet(패킷)은 pack과 bucket의 합친 말로, 네트워크가 전달하는 데이터의 정형화된 조각이다. 조각내어 보내는 이유는 트래픽이 많아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 (대역폭이라는 개념이 들어감) 깊게들어가면 어려우니, 이정도만 알아두자.
Forwarding: Forwarding은 패킷을 받으며, 보내는 작업을 하는 작은 개념이다.
Routing: Routing은 패킷이 그 패킷의 header에 쓰여있는 목적지 까지 갈 수 있도록 경로(route)를 찾는 과정으로, forwarding을 할 수 있게 갱신하는 작업이다.
Redundancy와 fault tolerance에 대한 내용이 아래 잘 나와있으니 읽어보자, 재미있다.
개요
Internet Protocol(ip)는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데이터의 패킷을 정의하고 라우팅을 관리하여 안정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ip는 컴퓨터와 네트워크 장치가 서로 통신할 수 있게 해주는 주소 체계를 제공한다.
많이 사용되는 Internet Protocol version 4(IPv4) 는 OOO.OOO.OOO.OOO 이런식의 구조를 보이며, 각각의 OOO에는 8비트로 표현되어 0~255의 정수가 할당된다. 앞 부분의 경우 네트워크 부분으로 해당 주소가 속해있는 네트워크를 식별하며, 뒷 부분은 호스트 부분으로 내트워크 내에서의 개별 기기를 식별한다.
각각의 기기는 고유한 IP주소를 가져야만 하며, 이를 통해 인터넷 상에서 식별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IP는 라우팅되는 방식에 따라 Public IP와 Private IP로 나뉜다. 온 세상의 IP는 identical 해야 하는데, 그렇다면 IPv4의 경우 $256^4$ 만큼의 경우의 수로 cover 해야한다. 사실상 모잘라 보이지만, 여기서 해소된다.
Public IP: 공인 IP는 인터넷 상에서 고유하게 식별되며, 인터넷을 통해 직접 접근이 가능하다. 글로벌 네트워크에서 사용된다.
Private IP: 사설 IP는 로컬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며, 인터넷 상에서는 직접 접근할 수 없다. 주로 기업이나 가정 내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어 내부 기기들이 구분되도록 한다. 로컬 네트워크의 여러 기기드링 동일한 사설 IP 주소를 사용 할 수 있도록 Network Address Translation(NAT)이 사용된다.
출처
그림: 칸 아카데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