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리 조금/Basics

Expectation vs. Average

Turtle0105 2023. 9. 4. 10:07

이 글로 뉘앙스가 파악되면 좋겠다!

 

Average는 일반적으로 시행에 따른 산술평균을 의미한다. 시행에 dependent함. (표본평균 느낌)

EX) 주사위를 10번 던졌을 때, 주사위 눈의 평균

Expectation은 long term average. 즉, 시행 횟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average는 expectation으로 수렴함. (모평균 느낌)

EX) 일반적으로 주사위를 던졌을 때, 주사위 눈의 기댓값

 

기댓값 구하는 공식 참고! https://ko.wikipedia.org/wiki/%EA%B8%B0%EB%8C%93%EA%B0%92

 

기댓값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확률론에서 확률 변수의 기댓값(期待값, 영어: expected value, E {\displaystyle \operatorname {E} } )은 각 사건이 벌어졌을 때의 이득과 그 사건이 벌어질 확률을 곱한 것을

ko.wikipedia.org

그림 출처: wiki

'정리 조금 > Basi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 vitro, in vivo and in silico  (0) 2023.10.25
SSH, Host Keys  (0) 2023.10.12
Exact & Asymptotic p-values  (0) 2023.08.31
Scale Free Network  (0) 2023.08.31
Replicates  (0) 2023.08.28